버추얼 프로덕션: 스타워즈에서 몰입형 엔터테인먼트와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을 구현한 ILMxLAB과 NVIDIA

ILMxLAB의 제작 감독이자 비주얼 이펙트 총 책임자인 레오는 IML이 버추얼 프로덕션에 흥미를 보인 덕분에 스타워즈: 제국의 비밀 같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설명합니다. "ILM은 감독들이 스타워즈 세계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이런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면 관객들 역시 스타워즈 세계와 상호작용하고 싶어 하리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실제 관람객들에게 공개할 수 있는 결과를 얻고 싶었습니다."

ILMxLAB은 실시간 렌더링을 채택하면서도 ILM의 수준에 맞는 시각적 기준을 유지하는 것을 잊지 않았습니다. 이들은 가정용 VR과 달리 위치 기반 엔터테인먼트를 선택해 VR 경험을 전달하기로 했습니다. 그 방식이 가장 감각적으로 훌륭한 경험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위치 기반 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참가자들은 놀이 공원이나 박물관처럼 VR 경험을 위해 특별히 마련된 고정 세트장을 방문합니다. 그곳에 마련된 하드웨어는 ILMxLAB의 기준에 맞는 시각적 충실도를 보장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버추얼 프로덕션 및 실시간 렌더링에 대해 연구한 결과, ILMxLAB는 The VOID와 함께 '스타워즈: 제국의 비밀'과 같은 놀라운 VR 경험을 만들어 낼 수 있었습니다. '스타워즈: 제국의 비밀'에서는 최대 4명의 플레이어가 문제를 해결하는 VR 아바타 형태로 동시에 참여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사물과 상호작용하거나 바람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툴인 언리얼 엔진 및 NVIDIA 측의 도움도 컸습니다. 이제 실시간으로 사실적인 영상을 얻기 위해 전혀 다른 사고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없는 거죠."
ILMxLAB과 THE VOID는 플레이어들이 주먹왕 랄프(Wreck-It Ralph) 영화 시리즈의 친숙한 주인공들과 넓은 세상 속에서 애니메이션 속 모험을 펼치는 주먹왕 랄프(Ralph Breaks) VR을 함께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ILMxLAB은 "그저 바라만 보는 게 아니라 실제 그 속에 들어가 일부가 되는"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레오는 말합니다. 앞으로 이들은 마블 시리즈를 비롯해 더 많은 VR 경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팟캐스트의 2부에서는 NVIDIA의 책임 솔루션 아키텍트인 릭 그래디가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을 가능하게 한 RTX 기술에 대해 설명합니다.
NVIDIA는 GDC 2018에서 에픽게임즈 및 ILMxLAB와 협력하여 눈부신 스타워즈 캐릭터들이 출현하는 리플렉션 영상을 제작해 언리얼 엔진과 RTX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 기술을 선보이며 VFX 커뮤니티를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그 이후 "많은 스튜디오들이 함께 작업하자고 연락이 왔어요!"라며 그래디가 웃으며 말합니다. RTX 아키텍처는 렌더링 작업 시 텐서(Tensor)와 RT라는 새로운 유형의 코어 두 개를 사용하며, 특히 RT는 레이 트레이싱의 속도를 올리는 것에 집중한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그래디는 영상 퀄리티를 선명하게 유지하면서도 반사나 그림자로 인한 렌더링 시간을 줄일 수 있는 NVIDIA의 노이즈 제거 기술도 설명합니다.
RTX를 사용한 레이 트레이싱은 언리얼 엔진의 기술은 아니지만 시그라프 2018(SIGGRAPH 2018)에서 선보인 T스피드 오브 라이트(The Speed of Light) 데모에서처럼 NVIDIA는 에픽과 함께 이 기술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신기술을 익숙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체 플랫폼을 제공해야 합니다. 모두 RTX를 원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제 소프트웨어 공급자들이 시장에 소프트웨어를 공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래야 사람들이 제작 워크플로에서 이 기술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을 테니까요."
팟캐스트에서는 더욱 풍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니 전부 놓치지 마세요! 버추얼 프로덕션 허브 페이지에 방문하시면 성장 중인 분야의 팟캐스트 방송, 비디오 및 기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