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비나: 언리얼 엔진으로 디지털 트윈 데이터 시각화하기

2022년 2월 21일
최근에 언리얼 엔진으로 디지털 트윈 데이터 시각화하기 웨비나가 진행되었습니다. 놓치셨다면 여기에서 다시보기를 시청하여 언리얼 엔진에서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디지털 트윈이란 물리적 대상의 3D 모델로, 기능과 프로세스가 라이브 연속형 데이터에 의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구조물을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합니다. 이 웨비나에서는 언리얼 엔진을 사용하여 이렇게 연결된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WSP의 Ludvig Lovén은 언리얼 엔진을 위한 Microsoft Azure Digital Twin(ADT) Link 플러그인을 소개하고, 샘플 프로젝트의 개요를 설명합니다. 플러그인을 자세히 살펴보며 강력한 비주얼 피드백을 위해 AI와 파티클 시스템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도 설명합니다.

언리얼 엔진을 위한 ADTLink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언리얼 엔진용 ADTLink 샘플을 다운로드하여 나만의 디지털 트윈을 만들어 보세요.

다음에 대해 알아봅니다.
  • 디지털 트윈을 시작할 때 유용한 팁
  • 실시간 연구에 IoT 센서를 활용하는 방법
  •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 나이아가라 파티클 시스템을 활용하는 방법
  • 언리얼 엔진을 위한 ADTLink 플러그인 커스터마이징 팁

    더 많은 학습 콘텐츠를 찾고 있나요?

    전체 웨비나 시리즈를 확인하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에픽과 업계 전문가들의 조언을 들어보세요. 핸즈온 영상 강좌와 학습과정이 마련된 언리얼 온라인 러닝 포털을 방문해 보세요.
    언리얼 엔진 5.3이 출시되었습니다!
    뉴스
    9월 6일

    언리얼 엔진 5.3이 출시되었습니다!

    언리얼 엔진 5.3은 게임 개발자와 다양한 산업 분야의 크리에이터를 위한 UE5의 기능과 잠재력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전반적으로 다양한 개선 사항과 함께 몇 가지 흥미로운 신규 실험 기능을 선보입니다. 새로운 기능을 알아보세요. 
    언리얼 엔진 5.3이 출시되었습니다!
    뉴스

    언리얼 엔진 5.3이 출시되었습니다!

    언리얼 엔진 5.3은 게임 개발자와 다양한 산업 분야의 크리에이터를 위한 UE5의 기능과 잠재력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기 위해 전반적으로 다양한 개선 사항과 함께 몇 가지 흥미로운 신규 실험 기능을 선보입니다. 새로운 기능을 알아보세요. 
    포트나이트 언리얼 에디터가 공개 베타로 출시되었습니다!
    뉴스
    3월 22일

    포트나이트 언리얼 에디터가 공개 베타로 출시되었습니다!

    포트나이트 언리얼 에디터(UEFN)는 언리얼 엔진의 기능과 포트나이트의 규모를 결합합니다. 개발 툴을 사용하여 지금까지 포트나이트에서 보지 못했던 게임과 경험을 제작하고 수백만 명의 플레이어에게 퍼블리싱하세요. 
    포트나이트 언리얼 에디터가 공개 베타로 출시되었습니다!
    뉴스

    포트나이트 언리얼 에디터가 공개 베타로 출시되었습니다!

    포트나이트 언리얼 에디터(UEFN)는 언리얼 엔진의 기능과 포트나이트의 규모를 결합합니다. 개발 툴을 사용하여 지금까지 포트나이트에서 보지 못했던 게임과 경험을 제작하고 수백만 명의 플레이어에게 퍼블리싱하세요.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주는 언리얼 엔진 5.3
    뉴스
    11월 22일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주는 언리얼 엔진 5.3

    이전 버전에서 이루어진 혁신을 기반으로 최근 출시된 언리얼 엔진 5.3은 버추얼 프로덕션 툴세트의 향상과 더욱 확장된 기능들의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차세대 ICVFX 스테이지에 대비하기 위한 토대가 마련되었습니다.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주는 언리얼 엔진 5.3
    뉴스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주는 언리얼 엔진 5.3

    이전 버전에서 이루어진 혁신을 기반으로 최근 출시된 언리얼 엔진 5.3은 버추얼 프로덕션 툴세트의 향상과 더욱 확장된 기능들의 개선이 이루어졌으며 차세대 ICVFX 스테이지에 대비하기 위한 토대가 마련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