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6월 12일

Chivalry: Medieval Warfare (기사도: 중세 전쟁)

저자: Unreal Engine

Torn Banner Studios 가 복잡한 멀티플레이어 근접전을 지원하는 게임을 만들고자 했을 때 선택한 것은, 에픽의 UDK 였습니다. 강력한 언리얼 엔진 3 툴세트 와 탄력성있는 라이선싱 조건 덕에 꿈을 현실로 이루어 낼 수 있었습니다.

Chivalry: Medieval Warfare 은 최근 IndieDB 올해의 인디 게임 경연의 "최고 기대작 게임(Best Upcoming Game)" 분야에서 최고 게임으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개발사의 사장 Steve Piggott 은, "저희는 원래 소스 엔진을 쓰고 있었습니다. 저희 팀의 첫 작품은 Age of Chivalry 라는 Half Life 2 인기 모드였다”고 말했습니다.

"저희 Torn Banner 사가 최첨단 비주얼 테크놀로지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매달 업데이트되는 UDK 덕이었습니다. 게임 엔진을 2 년 동안 개발한 다음에서야 2 년 지난 기술을 가지고 게임을 발매하는 대신, 바로 최신의 기술을 활용하여 내놓을 수 있는 데다가, 발매 이후에도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정말 강력한 부분이죠."

그러나 개발 과정에서 엔진을 바꾼다는 것은 절대 쉬운 일이 아닙니다. 팀이 일정한 방식으로 개발해 온 방식이 있는데, 중간에 엔진을 바꾼다는 것은 그때까지의 진행상황에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는 일입니다. 그런데도 Torn Banner 사는 UDK 로 전환하는 데 별 어려움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인터페이스는 아주 배우기 쉽고, 무슨 작업을 하는지만 확실히 안다면 다른 엔진보다 사용 효율도 훨씬 좋습니다. 다른 엔진에서는 절대 할 수 없었던 일을 해낼 수 있었습니다. 훨씬 빠르게요."

Chivalry: Medieval warfare

UDK 는 특히나, 고사양 게임 제작에 필요한 능력을 전혀 잃지 않으면서도 개발을 훨씬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그 폭넓은 툴세트 덕에, 새로운 사용자에게 좋습니다. 그 중에서도 백미는 언리얼 키즈멧 입니다.

"이제 키즈멧 없이 게임 만들 생각조차 못하겠네요. 정말 대단한 녀석입니다. 이런 비주얼 스크립팅 언어 하나 있으면 어떤 문제도 정말 빠르게 해결할 수 있을 겁니다."

'Chivalry: Medieval Warfare'의 영화같은 장면은, 팀이 즐겨찾는 또하나의 툴, 언리얼 마티네 덕을 봤습니다.

UDK 를 사용해서 실제로 얻을 수 있었던 혜택은, 비단 디자이너의 책상에서만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에픽이랑 그 파트너들과의 협력 관계도 매우 중요했고, Torn Banner 사 역시도 에픽이 이런 협력 관계를 진지하게 받아들인 데 대해 크게 감사하고 있습니다.

Chivalry: Medieval Warfare

"에픽 게임스는 정말 같이 일하기 좋은 회사입니다. 매우 친근한 분위기에, 다른 회사에서는 볼 수 없는 방식의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거든요. 큰 회사도 따듯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는 살아있는 예라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이 기꺼이 나서서 도와주고 신경써 주고 하니, 정말 크나큰 차이죠." 

 UDN  에 제공되는 문서의 양도 정말이지 엄청납니다. 제작이나 개발중 무언가에 막힐 때마다, 해답이 되는 단계별 안내서가 이미 준비되어 있습니다. 에픽 게임스가 버티고 있으니, UDK 와 함께라면 어둠속을 헤맬 일은 훨씬 줄어들 것입니다. 사용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지원도 확실하거든요."

UDK 의 로열티 기반 지불 구조 역시 소규모 개발사에 요긴합니다. 게임 개발에서의 재정적 부담을 크게 덜어, 창의적 인재들의 꿈이 화면위에 피어보지도 못하게 되는 경우를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제작중인 꿈의 게임 'Chivalry: Medieval Warfare'을 통해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최고의 근접 전투 게임을 만들고 있으며, UDK 덕에 그 꿈을 좇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많은 개발자들이 계속해서 자신의 꿈을 좇아 언리얼 엔진 테크놀로지로 모여들 것이라 생각합니다." 

게임의 공식 웹사이트, Indie DB.com, 트위터의 @TornBanner 팔로잉, 페이스북의 Chivarly 페이지 ‘좋아요’ 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