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8월 14일

3Lateral, 언리얼 엔진의 디지털 휴먼과 캐릭터 퍼포먼스 향상

저자: Dana Cowley

에픽게임즈는 올해 초 게임 디벨로퍼 컨퍼런스(Game Developers Conference, GDC)에서 3레터럴(3Lateral)과 협력하여, 배우 앤디 서키스(Andy Serkis)를 본따 제작한, 실제 사람에 기반을 둔 실시간 디지털 캐릭터의 놀라운 발전을 공개했습니다. 에픽게임즈는 언리얼 엔진과 3레터럴의 메타 휴먼 프레임워크(Meta Human Framework)를 기반으로, 앤디 서키스가 펼친 "맥베스" 연기의 볼류메트릭 데이터 캡처를 사용하여 디지털 버전의 앤디와 디지털 캐릭터인 오시리스 블랙(Osiris Black)을 제작해, 지금껏 유래없는 수준의 충실도와 현실감을 만들어낼 수 있었습니다. 이 데모들은 배우의 연기를 캡처한 하나의 데이터 집합체가, 완전히 다른 두 개의 디지털 캐릭터를 어떻게 만들어 내는지 보여줍니다.

오늘 3레터럴은 이 기술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킨 버전을 공개했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똑같이 맥베스 연기를 펼치는 오시리스 블랙의 얼굴이 디지털 앤디 서키스의 얼굴로 매끄럽게 변화하는 과정을 보실 수 있습니다. 3레터럴의 종합적인 기술 프레임워크는 4D 볼류메트릭 캡처에 언리얼 엔진을 사용하며, 단순히 애니메이션용 데이터 추출에 그치지 않고 더욱 강화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완전히 실감나는 애니메이션 커브를 구축하기 위해 얼굴 변형 및 모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2D 및 3D 페이셜 트레킹 및 솔빙의 차세대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새로운 데모에서는 외계인과 휴먼 디지털 DNA 간의 변신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메타 휴먼 프레임워크의 구성 요소인 리그 로직(Rig Logic)과 진 스플라이서(Gene Splicer) 기술을 선보입니다. 나아가 3레터럴은 독특한 캐릭터를 포괄적이고 가벼운 메모리로 표현하기 위한 고유 파일 포맷도 개발했습니다. 이 변신 영상에서는 외계인에서 인간으로 변신 도중, 어떻게 다수의 다양한 캐릭터들이 동일한 애니메이션 커브들로 만들어지는지 볼 수 있습니다. 3레터럴 기술의 강점을 뒷받침해 주는 또 하나의 증거입니다.

이 정도의 해석 데이터를 수집하고 높은 수준의 포토리얼리즘을 구현함으로써, 머신 러닝의 의의를 더욱 넓히고 엔터테인먼트, 생체 인식, 의학 및 기타 여러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발표로 3레터럴은 엄청난 역량을 보여주었으며, 앞으로 이들이 어떤 성과를 이뤄낼지 매우 기대됩니다.